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졸릴 때 잠 깨는 법

by qawsedrf 2023. 6. 6.

회사나 학교에서 학원에서 졸릴 때 잠 깨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보통 잠깨는 법을 알아야 할 때는 눕거나 엎드려서 잘 수가 없을 때인데요. 간단하게 앉아서 잠을 깨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초만에 깨는 법, 뭘 먹는 방법, 평소에 안 졸리는 법으로 나누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졸음운전 방지하는 꿀팁도 공유하겠습니다.

행동해서 잠깨는 법

혈자리 누르기 

혈자리 누르는 것은 사람에 따라서 안 믿는 분도 계십니다. 지압이 무슨 과학적이냐? 미신이다, 증거가 없다 이런식으로 생각하시더라구요.

 

그런데 회사에서 회의중이거나 수업 중이라면 뭘 먹을 수가 없잖아요. 그땐 혈자리라도 눌러서 잠을 깨야 합니다. 혈자리 중에 가장 효과 있는 곳은 바로 귓불입니다.

 

그냥 귓불만 당겨도 되지만 귀 연골과 이어지는 귓불을 잡아당기는 게 더 효과가 좋습니다. 운전할 때도 졸리면 양쪽 귀를 차례 대로 세게 당기고 마사지한다는 느낌으로 꾹꾹 눌러주면 졸음운전을 막을 수 있습니다.

혀 움직이기

보통 졸릴 때는 혀가 가만히 있습니다. 스터디카페에서 공부할 때나 몇 시간 동안 강의를 들으면 입이 가만히 있고, 혀도 가만히 있습니다.

 

신나게 수다 떨면서 졸리는 분은 거의 없죠. 졸릴 때 혀를 움직이면 잠에서 깰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뭘 먹는 거구요. 뭘 먹을 상황이 안 된다면 차가운 물이라도 마셔서 혀를 움직이면 좋습니다.

바람 쐬기

식곤증이나 춘곤증처럼 뭘 먹고 졸리다거나 계절 때문에 항상 비슷한 시간에 졸린다면 밖에 나가보세요. 밖으로 나가서 상쾌하고 신선한 공기를 마시면 폐가 활성화되고 잠에서 깰 수 있습니다. 밖에 못 나간다면 선풍기를 쐬는 것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박수 치기

다섯 손가락을 쫙 펴고 소리나게 치는 박수가 가장 효과가 좋습니다. 박수치면 혈액 순환도 좋아집니다. 물론 이건 조용한 회의시간이나 강의시간에 할 수는 없겠죠.

위를 쳐다보기

보통 졸릴 때는 눈꺼풀이 아래로 내려가고 고개도 아래로 떨구어집니다. 이걸 역으로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뇌과학적으로 증명된 방법입니다.

 

햇빛이 있는 곳, 전등이 있는 곳처럼 밝은 곳을 쳐다보는 겁니다. 눈꺼풀을 위로 올리고 태양빛처럼 밝은 걸 쳐다보면 우리 뇌가 야외에 있다고 착각해서 몸을 움직일 준비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근육이 약간 긴장하게 되고 잠이 깨게 됩니다.

 

졸음운전 방지하는 법

운전 중에 졸리신 분들 중에 선글라스 끼고 운전하시는 분들 계십니다. 전 원래 운전할 때 졸렸던 적이 없는데요. 이상하게 선글라스만 끼면 잠이 오더라구요. 눈이 부시더라도 선글라스를 벗고 운전하면 덜 졸립니다.

 

먹어서 잠 깨는 법

톡톡 튀는 사탕

먹어서 잠 깨는 것은 회사원들이나 학생들에게 유용합니다. 대부분 커피를 마시게 되는데요. 커피 말고 톡톡 튀는 사탕을 먹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입에서 따닥따닥 소리가 나면 독서실 같은 곳에 있을 경우에 의외의 집중을 받을 수도 있어서 난감하기도 합니다. 혼자 공부할 때나 운전 중에 유용하겠죠.

카페인 음료 먹기

커피, 레드불, 핫식스, 몬스터, 박카스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마십니다. 성인 카페인 하루 권장량은 400mg입니다. 보통 믹스 커피에 40~60mg의 카페인이 들어있구요. 매일유업 바리스타 커피 같은 건 100~120mg 정도 들어 있습니다.

 

카페인 음료는 음료 겉면에 카페인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표시 되어 있으니 잘 읽어보시고 하루 권장량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졸음 사탕 먹기

편의점에 가면 졸릴 때 먹는 사탕이라고 졸음방지사탕을 팔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박하사탕처럼 허브를 넣어서 입이 매워지는 사탕이거나 아이셔처럼 신맛입니다.

 

매운 사탕을 먹으면 코가 뻥 뚫리고 청량감이 느껴져서 잠이 달아나구요. 신맛은 혀를 자극하기 때문에 역시 순간적으로 잠이 깹니다. 또 다른 졸음사탕으로는 프로폴리스캔디가 있습니다.

 

평소에 안 졸리는 법

규칙적으로 8시간 자기

안 졸리는 법은 너무 뻔하지만 규칙적으로 8시간 자는 것입니다. 단순히 8시간만 채워서 자는 것보다 항상 자던 시간에 자고, 항상 일어나던 시간에 일어나는 게 수면부족으로 고통받지 않는 방법입니다.

 

고3같은 수험생 중에 잠을 줄여서 공부를 하거나 미라클모닝을 실천한다고 하루에 3~4시간만 자고 공부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뇌 효율이 떨어져서 오히려 공부가 잘 안 됩니다.

 

미라클모닝을 하려면 밤 9시에 자고, 새벽 4시반이나 5시에 일어나야지 12시, 1시에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난 미라클모닝했다! 이런 식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 그건 그냥 잠을 줄이는 겁니다. 잠을 줄이면 건강도 상하고 평소에 모든 일에서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극단적으로 잠을 안 자면 죽습니다.

낮잠자기

우리나라 특성상 잠자는 걸 게으르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엄청 졸릴 때 10분에서 15분정도 자는 건 푹 잔 것과 비슷한 효과가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공부할 때 책상에서 잠깐 자거나 회사 점심시간에 잠깐 엎드려서 쪽잠 자는 건 컨디션 회복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합니다. 그런데 1시간 2시간씩 자면 오히려 머리가 몽롱해질 수 있습니다.

 

10~15분 낮잠잔다는 건 밤에 8시간 잤다는 전제 하에 말씀드리는 겁니다. 밤에 3시간 자고, 낮잠 15분 잔다? 효과가 아예 없지는 않겠지만 그냥 밤에 길게 자는 게 낮에 안 졸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자기 전에 스마트폰 안 보기

거의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이 자기 전에 tv를 보거나 불끄고 스마트폰을 보다가 잠듭니다. 오늘부터 잠자기 1시간 전부터 스마트폰을 끊어보세요. 블루라이트를 안 보게 되니 훨씬 숙면할 수 있습니다. 낮에 효율이 잘 나오는 건 당연합니다.

 

잠올 때 잠 깨는 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댓글